2020. 9. 28. 19:52ㆍ카테고리 없음
엔비디아에서 RTX 3080가 출시됨에 따라
PC시장이 북적이기 시작했다.
기존 RTX 2080 Ti를 능가하여 엔비디아의
마지막 세대임에도 훨씬 저렴한 비용이 책정되었고,
유통사에서도 기존 소매점을 통해
판매되지 않고 쿠팡에서 다이렉트로 판매하게 되면서
컴퓨터 업자들 사이에서 한바탕 소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 정도의 소란을 일으킬 정도면
도데체 성능이 얼마나 좋길래? 라는
의문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RTX 3080의 큰 장점이라면
높은 성능은 둘째치더라도 가격이 착하다는 것이다.
가격대비 훨씬 뛰어난 성능을 보유한 RTX 3080
RTX 3080은 동일한 가격인 기존 RTX 2080의
두 배 정도의 성능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RTX 2080 Ti를 능가하여
수준 높은 4K 게임 성능을 제공한다.
이는 레이 트레이싱과 이미지 품질을
유지하면서 프레임 속도를 높이는
엔비디아의 특수 AI기반 DLSS라는 기술을
활용하는 동시에 이루어진다.
가격은 RTX 3070, $499부터 시작,
RTX 3080 $699부터 시작이며,
국내의 경우 약 100만원에 살짝 가까운
가격이다.
RTX 3080의 장점 - 매우 조용하고 시원하다. - 1440p 또는 4K 게임에 적합하다. - DLSS는 혁신적 |
RTX 3080의 단점 - 750W 전원 공급 장치가 요구되며, 추가 전력 소비 (전기세가 장난 아니게 될 것) - 여전한 12핀 전원 어댑터 - 10GB 메모리 |
RTX 3080의 하드웨어
엔비디아는 RTX 2080 냉각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한 단계를 더 나아가 냉각이 향상 되었다.
듀얼 팬 설정이 변경되어 양쪽에
하나의 팬이 있다는 것.
팬이 공기를 끌어당기고,
CPU 쿨러 및 후면 케이스 팬에서
뜨거운 공기를 배출한다.
이는 보다 최적의 공기 흐름을
새성하여 GPU 온도를 낮추고
더 조용한 소리를 제공한다.
참고로 RTX 2080 역시 소음이 낮은 걸로
유명하기에 둘을 비교하여도
딱히 큰 차이점은 느낄 수 없다는 것이
현재 사용자들의 후기이다.
RTX 3080의 후면의 포트는
단일 HDMI 2.1 포트와
3개의 디스플레이 1.4a 포트가 있다.
RTX 2080에서 사용된 USB-C 포트를
없애버렸지만, 문제점으로 꼽히지는 않고 있다.
앞서 설명했듯 RTX 3080에는 최소 750W의
전력 공급이 권장된다.
따라서 컴퓨터 파워를 고려해야 하는 추세.
(RTX 02080의 225와트 소비량에서 42%나 증가 했다)
모니터 1440P 환경에서 최대 설정으로 게임 테스트하기
포트나이트의 경우 평균 161fps,
콜오브 듀티 워존의 경우 평균 116fps를 기록했다.
다음 자료를 통해
RTX 2080에 비해 거의 60% 이상 성능을
향상 시킨 것을 알 수 있다.
모니터 4k 환경에서 최대 설정으로 게임 테스트하기
RTX 2080은 조금 더 저렴한 가격으로
4K 게임을 지원하는 것으로 되었지만,
모든 설정을 최대로 한 까다로운 환경에서는
60fps 이상을 처리할 수 없었다.
그러나 다음 자료를 통해
4K에서도 RTX 3080으로 거의 모든 게임에서
60fps에 도달하거나 초과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계속 발전하는 게임의 우려
제 아무리 좋은 그래픽 카드를
구매하였다고 하더라도 게임에서
요구되는 사양이 점점 발전되면
또 바꿔야 할 시기가 온다.
일단은 RTX 3080의 경우 10GB 메모리를 갖추었고,
현재 평균 게임이 4K 환경에서 4~6GB의 메모리를
사용한다고 한다.
아직까지는 꽤나 여유 있는 넉넉한 메모리이므로
많은 게임을 오랫동안 소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유망넘치는 모델인 것은 틀림없다.
혹시나 그래프 표가 필요하다면
아래 글 마지막 단락에 마련해놓았으니
참고 해보면 된다.